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초간단
2022년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매년 필수로 제출해야하는 보건증을 온라인으로 쉽게 발급받고 싶다면 확인하세요.
보건증이란
보건증은 '건강지단결과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식업이나 금식업 등 종사자는 식품위생을 위해서라도 종사자의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사합니다. 해당 검사결과를 종이로 받게 되는데 이걸 가리켜 보건증이라고 부릅니다. 내가 사장으로 일하든 직원을 채용하든 필수로 챙겨야할 서류라고 생각하면 됩니ㅏㄷ.
보건증 인터넷 발급 하기
인터넷으로 발급하는건 공공보건포털이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1분 내로 가능합니다. 영문으로는 G-Health라는 명칭을 갖고 있습니다. 바로 가실분들은 편하게 이용해도 괜찮습니다.
https://www.g-health.kr/portal/index.do
G-health 공공보건포털
공공보건포털 G-health입니다.
www.g-health.kr
보건증 인터넷 발급 하기전 주의사항은 병원에서 검사가 끝난 뒤에만 출력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검사를 받고 약 1주일 정도 후부터 발급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검사한 날로부터 보건증 유효기간은 1년으로 제한됩니다.
공공보건포털 사이트로 접속 후 온라인 민원서비스 -> 제증명발급으로 갑니다.
보건증 발급시 유의할점
프린터가 내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선으로 꽂아져있지 않고 wife 무선 프린트 연결이라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말이죠. 따라서 되도록이면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 프린터 선을 다이렉트로 연결 후 출력 명령을 내려야 합니다.
또한 개인마다 검사한 보안적 결과를 제공받는 것이기에 실명인증을 할 수 있는 본인명의로 개통된 스마트폰이 필요합니다. 인증을 할때 자신의 신분을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면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발급다는건 불가합니다.
보건소 보건증 발급 방법
지역별 보건소로 방문하면 건강진단서(보건증) 접수,교부,수납이라고 명시된 팻말이 있는 곳이 있습ㄴ디. 해당 접수처로 방문해서 상담을 하게되면 보건소에 마련된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게 됩니다. 대략 5일 정도 뒤쯤이면 수령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받는게 불편하다면 이처럼 현장방문도 가능합니다. 직접 해보면 느끼겠지만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알려드린 만큼 초간단 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팟 플레이어 다운로드 무료 설치 (0) | 2021.12.21 |
---|---|
hp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 (0) | 2021.12.21 |
GS반값택배 조회 가격 보내는법 (0) | 2021.12.21 |
네이버 밴드 PC버전 다운로드 및 설치 (1) | 2021.12.21 |
당근마켓 PC버전 무료설치 홈페이지 (0) | 2021.12.20 |